케이블 코어의 허용 장기 작동 온도는 일반적으로 고무 절연은 65°C, 폴리염화비닐(PVC) 절연은 70°C,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은 90°C입니다. 단락(최대 지속 시간이 5초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경우, 허용 가능한 최고 도체 온도는 PVC 절연의 경우 160°C, XLPE 절연의 경우 250°C입니다.

I. XLPE 케이블과 PVC 케이블의 차이점
1. 저전압 가교 케이블(XLPE)은 1990년대 중반 도입 이후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폴리염화비닐(PVC) 케이블과 함께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XLPE 케이블은 PVC 케이블보다 높은 전류 용량, 강력한 과부하 보호 기능, 그리고 더 긴 수명을 자랑합니다(PVC 케이블의 열 수명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조건에서 20년인 반면, XLPE 케이블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40년입니다). PVC는 연소 시 다량의 검은 연기와 유독 가스를 배출하는 반면, XLPE는 연소 시 유독 할로겐 가스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가교 케이블의 우수성은 설계 및 적용 분야에서 점점 더 인정받고 있습니다.
2. 일반 PVC 케이블(절연재 및 피복재)은 급속한 지속 연소로 인해 빠르게 연소되어 화재를 악화시킵니다. 1~2분 이내에 전력 공급이 중단됩니다. PVC 연소 시 짙은 검은 연기가 발생하여 호흡 곤란 및 대피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PVC 연소 시 염화수소(HCl)와 다이옥신과 같은 독성 및 부식성 가스가 방출되는데, 이는 화재 사망의 주요 원인(화재 관련 사망자의 80% 차지)입니다. 이러한 가스는 전기 장비를 부식시켜 절연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고 완화하기 어려운 2차 위험을 초래합니다.
II. 난연성 케이블
1. 난연성 케이블은 난연 특성을 가져야 하며, IEC 60332-3-24 "화재 조건에서의 전기 케이블 시험"에 따라 A, B, C의 세 가지 난연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A등급은 가장 높은 난연 성능을 제공합니다.
미국 표준기술연구소(STRI)는 난연성 전선과 비난연성 전선에 대한 비교 연소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다음 결과는 난연성 케이블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a. 난연성 전선은 난연성이 아닌 전선에 비해 15배 이상 더 긴 탈출 시간을 제공합니다.
b. 난연성 전선은 난연성이 없는 전선에 비해 절반 정도의 물질만 태운다.
c. 난연성 전선은 난연성이 없는 전선에 비해 열 방출률이 4분의 1에 불과합니다.
d. 연소로 인한 유독가스 배출량은 난연성이 없는 제품의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e. 연기 발생 성능은 난연성 제품과 비난연성 제품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2. 할로겐 프리 저연 케이블
할로겐 프리 저연 케이블은 할로겐 프리, 저연성, 난연성 특성을 갖춰야 하며, 다음 사양을 충족해야 합니다.
IEC 60754(할로겐 프리 테스트) IEC 61034(저연 테스트)
PH 가중 전도도 최소 광 투과율
PH≥4.3 r≤10us/mm T≥60%
3. 내화 케이블
a. IEC 331-1970 표준에 따른 내화 케이블 연소 시험 지표(화재 온도 및 시간)는 750°C에서 3시간 동안입니다. 최근 IEC 투표를 통해 발표된 최신 IEC 60331 초안에 따르면, 화재 온도는 750°C에서 800°C까지 3시간 동안입니다.
b. 내화 전선 및 케이블은 비금속 재료의 차이에 따라 난연성 내화 케이블과 비난연성 내화 케이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내화 케이블은 주로 마이카 코팅 도체와 압출 난연성 절연체를 주요 구조로 사용하며, 대부분은 B급 제품입니다. A급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특수 합성 마이카 테이프와 무기 절연체(구리 심선, 구리 슬리브, 산화마그네슘 절연체, MI라고도 함)를 사용합니다.
무기 절연 내화 케이블은 불연성, 무연성, 내식성, 무독성, 내충격성, 내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내화 케이블로 알려져 있으며, 내화 케이블 중 가장 뛰어난 내화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러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생산 길이가 제한적이고, 굽힘 반경이 크며, 절연이 습기에 취약하며, 현재 25mm² 이상의 단심 제품만 공급 가능합니다. 또한, 영구적인 전용 단자와 중간 커넥터가 필요하여 설치 및 시공이 더욱 복잡합니다.
게시 시간: 2023년 9월 7일